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42

당연히 <a href="/">라고 생각했지... html에선라고 써서 홈페이지 이동을 했는데 리액트는 대신 를 쓴다. REACT : SPA(Single Page Application)이기 때문이다* SPA : 한 번만 페이지를 로딩하고, 그 이후부터는 화면의 일부만 바꾸는 방식 처럼 쓰면 페이지가 전체 새로고침돼서 REACT 앱이 다시 시작되버리게 됌==> 이러면 앱의 상태(STATE)도 다 날라가고 느려지고 비효율적임 이걸 REACT에서 막기위해 react-router-dom이라는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를 쓴다 import {Link} from 'react-router-dom';홈이렇게 쓰면 *주소(URL)는 바뀌지만 페이지는 새로고침되지 않고 REACT 내부에서만 화면 바꾼다** React Router에서 권장 #을 써서 가이 부분이 이동된.. 2025. 4. 23.
[js] 자료형 자료형(type) : 값을 성질에 따라 분류한 것원시 자료형 : 한번에 단 하나의 값만 가질 수 있는 타입✔️ 반대로 말하면 동시에 여러 개의 값을 가질 수 없다 let age = 25, 30; // error : 문법오류 2024. 12. 10.
[js] const const age = 25;console.log(age);// 25상수는 절대 변하지 않는 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이름인 건 알겠고 "불변"이라는 뜻을 가진 constant라는 단어에서 유래됨..  값을 초기화하지 않고, 상수만 선언한 예시//값을 초기화하지 않고, 상수만 선언한 예시// const age; // error : 상수 선언과 함께 반드시 초기화를 해야한다age = 25; 나중에 값을 변경할 수 있다면 'let'이 올바른 선택임let age = 25;age = 30;  ✔️ 절대 재할당되지 않는 변수(ex, 상수)에는  'const'를 사용하기✔️ 나중에 프로그램에 값이 변경될 수 있는 경우 'let' 사용하기✔️ 최신 js에서는 'var' 사용은 피해야함 -> 버그로 이어짐 2024. 12. 10.
FileInputStream, File, messageSource.getMessage FileInputStream fis = null;File file = null;- FileInputStream : 파일 데이터를 바이트 단위로 읽어들이기 위한 클래스 ex) 텍스트 파일, 이미지 파일, 바이너리 데이터 등 File : 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클래스  null로 초기화  == 파일 입력 스트림과 파일 객체를 아직 생성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 ➡️ 이 방식은 try - catch - finally 구조에서 자원을 명확히 정리(close)하기 위해 사용된다  -- messageSource.getMessage 는 import org.springframework.context.MessageSource;​ 를 import 했는데 spring framework에서 국제화(i18n)와 메시지 관리.. 2024. 12. 4.